매일경제신문 기사 1개를 읽고 기사에서 나온 경제용어를 정리하면서 경제공부를 하려고 합니다. 2023.01.28. 오늘의 경제용어는 신흥시장(이머징 마켓), MSCI, MSCI 신흥국지수, FTX 사태, 달러 인덱스, 하방압력, 상승압력입니다.
킹달러 주춤, 긴축 막바지… 큰손들 '귀신같이' 신흥국에 베팅
커지는 경기 긍정론 ◆ 신흥시장 자금 밀물 ◆ 연초 '킹달러 현상'이 퇴조하며 글로벌 자금 흐름에 뚜렷한 변화가 감지된다. 신흥국에서 빠져나왔던 글로벌 투자 자금이 신흥국으로 유턴하고 있
n.news.naver.com
1. 기사 요약
신흥시장 자금 밀물, 신흥국 일평균 순 유입 11억 불 중 8억 불이 '리오프닝'중국에 몰려
- 연준의 금리 인상이 중단되면 달러 가치가 하락해 신흥국의 투자 매력도가 올라간다.
- 미국 4분기 2.9% 성장하여 예상 상회, 12월 물가 6.5%로 6개월째 둔화/ 중국의 리오프닝(경제 재개)
- 미국과 중국의 경기회복 기대 커지면서 신흥국 지수 저점 이후 25% 올랐고, 위험자산 가상화폐도 급증
2. 기사 속 경제용어 정리
신흥시장(이머징 마켓 Emerging Markets): 경제성장 및 산업화 과정에 있는 국가를 의미한다.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c.): 미국의 금융지수 정보제공 회사인 모건 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에서 만든 주가 지수이다. MSCI는 국가별로 주식시장의 발전 단계에 따라 선진 시장(DM), 신흥 시장(EM), 프런티어 시장(FM)으로 나누고 있다.
MSCI 신흥국 지수: 신흥시장 국가를 대표하는 대형주와 중형주로 구성되어 있다.
FTX 사태: 세계 3위에 달했던 가상화폐 거래소 FTX가 2022년 11월 파산 신청을 했다.
달러 인덱스: 주요 6개국 통화와 비교하여 미국 달러의 평균 가치를 지수화한 것으로 달러인덱스가 상승하면 미 달러화 가치가 오른 것을 의미하고, 하락하면 미 달러화 가치가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방압력: 대내외 여러 가지 요인이 경제 침체나 주가 하락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승압력: 대내외 여러 가지 요인이 경제 회복이나 주가 상승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신문 속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형암호, 게임 체인저 (0) | 2023.01.31 |
---|---|
반도체 굴기, 테스트 베드, 파운드리 (0) | 2023.01.30 |
챗GPT, 생성형 인공지능(AI), 자연어 처리 (0) | 2023.01.27 |
청년실업률, 잠재성장률, 생산가능인구, 구직난, 구인난 (0) | 2023.01.26 |
수소암모니아 혼소, 수소발전 입찰시장 (0) | 2023.01.25 |
댓글